여행이 일상인 삶

소소한 일상과 여행이야기

소소한 일상과 여행이야기

소소한 일상이야기

오래된 일본식 가옥을 찾아 가며...

달무릇. 2024. 1. 23. 10:59

^*^

때로는 잠시라도 집에 있는 것이 심심하고 좀이 쑤실 때가 있다.

그럴 때는 지체하지 않고 밖으로 나온다.

 

무엇을 하든 집에 있는 것 보다 바깥 활동을 하는 것이

여러모로 유익하기 때문 이다.

몸에도 정신에도

무엇보다 좋은 점은 무언가 새로운 것이 일어 나기 때문이다.

그 새로운 것이라는 게 늘 일어나는 아주 사소한 것과 별로

다름이 없다 할 지라도.

집을 나오자마자 식당으로 찾아 갔다,

배가 고프다거나 속이 그다지 虛하지 않음에도

불구하고 .

아주 가끔 꼭 그런 날이 있다.

왠지 무언가 땡기는 날이.

오늘은 그것이 돈가스다.

유부우동과 함께 나오는.

식사를 한 후 산책삼아 찾아 간 곳.

그 곳은 백년도 넘은 적산가옥을 문화원으로 개조한 곳이다.

중구 문화원.

중구 평생 학습관은 용두산 공원 올라 가는 입구에 있어

그  곳은 종종 방문 하는 곳이지만

이 곳 중구문화원은 마음을 먹어야 찾아 올 수 있다.

 

그렇다고 찾아 오기에 힘들다거나 아주 번거로운 것은 아니다.

고작해야 근현.대  박물관에서 큰길을 건너 5분 정도만 걸으면

찾아 올 수 있는 곳이다.

 

역시 백년이 된 부산 기상청 가는 길목에 있는 곳이기도 하다.

오래된 일본식 가옥이라 평수가 넓다거나 건물이 그다지 큰 것도 아니다.

그러나 이 곳에 오면 때에 맞춰 이런 저런 전시회를 많이 열기 때문에

한 번 씩 찾아 오면 마음에 작은 휴식을 가질 수가 있어 좋다.

 

이 번에는 부산 원도심의 이런저런 모습을 사진과 그림으로 전시해 놓았다.

일반인 작품도 있지만 초등학생들의 작품이 많다.

그럼에도 원도심의 모습을 이 곳 저곳 잘도 찾아 그려 표현 했다.

그 그림 속의 많은 모습과 풍경들.

아니 거의 대부분이 내 어릴 때 삶의 목습이다.

그림에 빠져 물끄럼히 바라 보고 있노라니 만화경이 파노라마가 되어 빠르게 흘러 간다.

 

물이 귀한 시절

한 동이의 물을 얻기 위하여 한 시간 넘게 긴 줄을 기다리고 있던 모습.

그리고 물지게가 없어 사내 아이가 머리에 물동이를 이고 나르던 모습.

 

한 봉지의 밀가루 배급을 받기 위하여 먼 길을 찾아 가 다시 길게

줄을 서야 했던 모습.

새해 설 등 명절이 되면 단 몇 가닥의 떡가래를 뽑아내기 위하여

손을 호호 불어 가며 두어 시간 넘게 줄을 서던 모습.

 

그렇게 당시에는 줄을 서는 게 일상이었고 그리고 그게 아주 당연한 것으로 알고

살았던 시절.

그렇게 줄을 서는 게 일상이었기에 지금도 어디를 가든 지

줄을 서서 기다리는 게 당연하고 그러려니 해야 겠지만

실상은 그렇지가 않다.

이제는 어디로 가든 지 줄을 서는 게 마땅치가 않다.

아무리 유명하고 맛있는 식당이라도 줄을 서서 찾아 가는 걸

좋아하지 않고

아무리 풍경이 아름답고  커피와 디저트의 맛이 좋다고 하여도
애써 줄을 서서 기다리는 걸 좋아하지 않는다.

 

유명하고 맛있는 식당을 찾아 가기 보다

외관과 내부가 깨끗하고 손님 접대를 할 줄 아는 식당이 좋고

뷰와 커피 맛이 조금 덜 하더라도 기다리지 않고

차 맛을 홀로 혹은 둘이서 즐기는 것을 더 좋아 한다.

 

그 일상이었던 긴 기다림의 줄들이 내게는

참 아픈 기억이었나 보다.

 

가끔씩 하게되는 긴  줄을 그 때 처럼 조금만 경험하면

맛있는 차와 좋은 뷰를 즐길 수 있을 텐데

그 걸 마다 하는 걸 보면.

오늘 저녁은 아이들과의 짧은 만남이 예약되어 있다.

약간의 시간이 남아 찾아 간 온천천.

온천천을 따라 길게 꾸며 진 불빛거리가 참 아름답다.

 

내 남은 생의 길처럼...